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실업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2026년부터 실업급여 금액 기준이 일부 변경되면서 상한액·하한액 모두 인상됩니다.
실제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 계산은 어떻게 되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실업급여 금액 계산, 이렇게 합니다
실업급여는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책정되며, 1일 상한액과 하한액 범위 내에서 지급됩니다.
- 📌 기준 공식 : 평균임금 × 60% × 지급일수
- 📌 단, 1일 금액은 상한액 이하 & 하한액 이상
즉, 고소득자의 경우 상한액이 ‘최대치’가 되며, 저소득자의 경우 하한액이 ‘최소치’가 됩니다.
🚨 2026년 실업급여 상·하한액은?
| 항목 | 2025년 | 2026년 |
|---|---|---|
| 1일 상한액 | 66,000원 | 68,100원 |
| 1일 하한액 | 60,480원 | 66,048원 |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로 자동 설정되며, 2026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320원으로 오르면서 하한액도 함께 인상됐습니다.
📢 실제 수령액 계산 예시
| 사례 | 평균 일급 | 계산식 | 지급액 |
|---|---|---|---|
| A 씨 (고소득) | 150,000원 | 150,000 × 60% = 90,000 | 68,100원 (상한액 적용) |
| B 씨 (중간) | 100,000원 | 100,000 × 60% = 60,000 | 66,048원 (하한액 적용) |
| C 씨 (저소득) | 70,000원 | 70,000 × 60% = 42,000 | 66,048원 (하한액 적용) |
※ 지급일수는 연령과 가입 기간에 따라 120일~270일 사이로 책정됩니다.
🤔 Q&A
Q1. 실업급여는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A. 하루 최대 68,100원, 월 기준 약 150만~200만 원대입니다. 단, 실제 수령액은 개인 평균 임금에 따라 달라집니다.
Q2. 하한액보다 적게 받을 수도 있나요?
A. 아니요. 원칙적으로 평균임금이 낮더라도 하한액 이상은 보장됩니다.
Q3. 세금은 공제되나요?
A.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이며, 건강보험료·국민연금 등의 공제도 없습니다.






























